기억 장치의 판독/기록 헤드는 강한 자성 코어를 가진 코일로 이루어진다. 이 중심부는 매개체와 접촉하고 있는 비자성 물질로 된 간격을 갖는다. 코일을 흐르는 전류는 매개체가 이 간격 밑을 지나갈 때 이 매개체를 자화시킨다. 코일은 매개체의 자기 흐름 변화에 반응하는데, 이것은 매개체를 움직임으로써 할 수 있다. 동작뿐만 아니라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에서 생기는 자장의 변화도 필요하다. 즉, 판독 헤드는 극성의 변화가 생기는 곳만 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는 극성의 변화가 생기는 곳에 암호화해야 하며, 판독할 때에는 이 변화가 생기는 곳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판독 신호의 정점을 탐지함으로써 할 수 있다.
G3 팩스의 고능률 전송을 위해 ITU-T에서 권고하는 2차원 부호화 방식. 각 주사선상의 백에서 흑 또는 그 역의 변화를 하고 있는 정보 변화 화소(畵素)를 부호화 주사선상의 참조 화소 또는 바로 앞의 주사선(참조선)상의 참조 화소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즉 참조선상의 참조 화소로부터의 거리를 부호화하는 수직 모드, 부호화 주사선상의 참조 화소로부터의 거리를 부호화하는 수평 모드 및 참조선상의 정보 변화 화소를 참조 화소로 보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통과 모드 중에서 어떤 것이든 선택하여 고능률로 부호화한다.
지침(指針)이 눈금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 눈의 위치에서 눈금을 읽을 때 착오가 생기는 것. 시차적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눈금판에 거울을 부착하여 그것에 지침의 상을 투상시킨 다음 지침과 상을 일치시켜 읽어야 한다. 0.5급 이상의 지시 계기에는 거울이 붙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광시식(光示式) 계기에는 시차적 오차가 없다.
특정 시각에서, 시간 척도에 대하여 규정하는 여러 종류의 값. 시간 척도를 읽을 때에는 반드시 시간 척도 표기법을 부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ITU-R 권고 536에 의하면, ㉠모든 형태의 원자시에 대하여 국제 원자시(TAI)와 일치되는 다음 표기법이 모든 언어에 사용되어야 한다.TAI:국제 도량형국(BIPM)에 의해 형성된 국제 원자시.TA:원자시, 원자 또는 분자 전이를 근거로 실현될 수 있는 시간 변수의 일반적인 표기.TA(K):연구소 ‘K’에 의해 실현된 바와 같은 시간 척도.㉡모든 형태의 국제시에 대하여 협정 세계시(UTC)와 일치되는 다음 표기법이 모든 언어에 사용되어야 한다.UT:세계시UTC:협정 세계시. 이 시간 척도는 BIPM 및 지구 자전 업무(IERS: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에 의해 유지된다.UTC(K):연구소 ‘K’에 의해 실현된 시간 척도이며 UTC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DUT1:시보와 함께 보급되는 바와 같이 예측된 차 UT1-UTC.
컴퓨터를 이용한 읽기용 기억 장치(ROM) 전용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규격. 한쪽 면 1층의 기억 용량은 4.7GB, 2층이면 8.5GB인데 DVD 비디오가 전용의 DVD 재생기를 사용하여 동화상 재생에 주안점을 둔 반면, DVD-ROM은 PC, 게임 소프트웨어 및 자동차 위치 정보 기기 등 큰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범용적인 기억 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CD-ROM의 후계품이라 할 수 있다.
[IT사전] CD-ROM XAcompact disk-read only memory extended architecture의 약자.
1985년 발표된 CD-ROM과 1986년에 발표된 CD-I(동화 기록까지 가능한 CD)를 결합한 이른바 교량 규격. 네덜란드 필립스, 일본 소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3사가 1988년에 발표하였다. CD-I의 음성과 영상 규격의 일부를 CD-ROM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CD-ROM XA 디스크를 CD-I 플레이어로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CD-I 플레이어가 예상한 대로 많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CD-ROM XA 규격을 채용한 소프트웨어가 많이 출현하지 않았으나 동화(動畵)의 표시 기능이 향상된 미국 3D사의 대화형 멀티 플레이어의 등장으로 CD-ROM XA가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로 각광받고 있다.